이재영

Ph.D. in Linguistics,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1996 M.A. in English Linguis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9 B.A. in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7 그는 영어음운론에 대해 연구해 오고 있습니다. 특히 영어 방언에 나타나는 음운론적 변이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생성문법의 전통 안에서 제안된 이론인 최적성이론의 틀로 영어 방언에서의 음운론적 패턴을 분석해오고 있습니다. […]

이정미

Ph.D. in Linguistics, Ohio State University, 2011 M.A. in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5 B.A. in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3 전공 분야는 의미론이며, 자연언어 문장의 의미가 통사구조와 담화맥락과 어떤 상관관계 속에서 발생하는지를 연구한다. 시간, 확실성과 같은 보편적인 개념들이 자연언어 문장을 통해서 어떻게 표현되는지, 이를 형식의미론의 틀 안에서 어떻게 […]

이용원

PhD in Speech Communication (Language Testing),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USA, 1998 한국교원대학교 영어교육과 교육학석사, 1992 한국교원대학교 영어교육과 교육학학사, 1989 담당과목 2025년 1학기 현대사회와 국제어 고급영어: 발표 2024년 1학기 현대사회와 국제어 고급영어: 발표 2023년 2학기 현대사회와 국제어 영어와 사회

이동신

Ph.D. in English Literature, Texas A&M University, 2007 M.A. in English Literature,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1999 B.A. in English Literature,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1997 전공분야는 현대미국소설, 공포 및SF문학이며, 주요 연구 관심사는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를 조명하는 포스트휴머니즘 이론이다. 저서로는 A Genealogy of Cyborgothic (Ashgate, 2010)과 『21세기 사상의 최전선: 전 지구적 공존을 위한 […]

유은정

Ph.D. in Linguistics, Ohio State University, 1997 M.A. in English Linguis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9 B.A. in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7 전공 분야는 영어통사론이며 통사이론 및 영어 구문 연구, 통사구조와 의미해석의 상관성 연구에 주된 관심을 갖고 있다. 특히 영어에서 의문문, 의사분열문, 자유관계절 등 다양한 WH-구문의 구조와 의미를 살펴보아 왔으며, 조각문(fragments), As-삽입절, […]

안지현

Ph.D. in English Literature, University of Chicago, 2003 M.A. in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4 B.A. in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8 전공분야는 미국문학과 흑인문학이다. 주요 관심사는 인종 정치(racial politics)가 문학과 문화와 교섭하며 작동하는 방식이며 인종이라는 범주가 미국의 국가적 정체성을 구성하는 양상에도 관심이 있다. 흑인문학의 범위를 흑인 디아스포라로 확장하여 […]

송미정

Ph.D. in Second Language Studie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USA, 1994 M.A. in TESOL,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1991B.A. in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6 전공 분야는 제2언어 습득 및 영어 교육이며, 주요 연구 관심사는 제 2 언어를 습득하기 시작한 나이가 제 2 언어의 궁극적인 성취 […]

손창용

Ph.D. in Linguistics, Stanford University, 1998 M.A. in English Language,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6 B.A. in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4 전공 분야는 영어사와 음운론이며, 주요 연구 관심분야는 영어의 통시적인 음변화이다. 이전 영어의 음운체계를 해당 시기의 문헌, 관련 언어, 운율 등을 통해 재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음변화의 원인과 양상을 연구한다. 음변화와 연관된 이전 […]

손영주

 Ph.D. in English Literatur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003 M.A. in English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7 B.A. in Linguis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5 전공 분야는 20세기 영국소설과 비평이론이며, 주요 연구 관심사는 19세기말부터 현재까지의 영국 및 영어권 문학과 문화, 영국의 사회· 문화 및 지성사이다. 여성 문학과 포스트 콜로니얼 문학에도 관심이 있다. 최근에는 문학에서의 감정/정동의 문제와 20세기 […]

봉준수

Ph.D. in Literatures in English, Rutgers –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1995 M.A. in English Literature, Yonsei University, 1987 B.A. in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1985 19세기 후반과 20세기의 영미문학과 문화, 특히 세기말, 모더니즘, 현대시/모더니스트시와 시학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문학의 존재론을 기반으로 하는  본문비평, (상호)텍스트성, 서정시의 이론, 문학과 음악의 상호관계도 관심분야이다. 오든을 번역하였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