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장욱

Ph.D. in English and Comparative Literature, Columbia University, 2014 M.Phil. in English and Comparative Literature, Columbia University, 2010 M.A. in English and Comparative Literature, Columbia University, 2008 M.A. in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6 B.A. in English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4 전공 분야는 미국 흑인문학과 비교문학이며, 주요 관심사는 흑인성(Blackness)의 재현과 유통, […]

오예슬

Ph.D. in English, Boston College, 2022 M.A. in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3 B.A. in Comparative Literature and Culture &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Yonsei University, 2011 전공 분야는 현대영시이며, 서정시와 시학, 그리고 문학이 시각예술과 대중문화를 비롯한 물질문화와 교차하는 지점에 관심이 있다. 시적 언어, 인지 과정, 체현의 경험에 기반한 꼼꼼히 읽기를 지향하며, […]

이미정

Ph.D. in English Literature,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2020 M.A. in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3 B.A. in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0 연구 분야는 20-21세기 영국과 영어권 소설이다. 지정학적으로 구성된 세계가 경험되고 재현되는 방식, 그리고 글로벌한 공간과 그 안에 속한 주체 간의 상호구성적 관계에 관심이 있다. 박사학위논문에서는 제국으로 정복되지 않은 “거리”와 영국과 동일시 될 수 […]

신형철

Ph.D.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2 M.A.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2 B.A.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0 전공 분야는 한국현대시다. 이상과 김수영을 중심으로 한국 모더니즘 시의 정치학을 연구한다. 동시대 문학/문화 현장에 대한 비평 활동을 하면서 ?몰락의 에티카?(2008)를 포함 네 권의 저서를 출간했다. […]

권하림

Ph.D. in Linguistics, University of Michigan, 2015 M.A. in English Linguis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B.A. in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5 전공 분야는 실험 음운론/음성학으로, 음성 언어의 인지적 표상과 그 물리적 현상의 관계를 밝히는 데 관심이 있다. 실험적 방법론을 통해영어 모국어 화자와 학습자, 혹은 이중/다중언어 구사자의 언어 경험이 그들의 음운 지식 […]

Vanessa LIM

Ph.D. in History and English, Queen Mary University of London, 2020 M.A. in the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and Intellectual History, Queen Mary University of London and University College London, 2015 B.Sc. in Politics and Philosophy,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2014 Vanessa Lim is a literary and intellectual historian of the English […]

김혜주

Ph.D. in English Literature, Syracuse University, 2021 M.A. in English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2 B.A. in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0 연구분야는 19세기 영국문학 및 의료인문학으로, 문학 연구와 의료 문화사, 비판적 인종 연구, 장애학을 아우르는 학제간 연구를 통해 건강 및 의료 담론에서 시민주체성이 구성되는 방식을 밝히는 데 관심이 있다. 출판 논문으로는 […]

한서린

PhD in English,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009 MA in English,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002 MA in English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1 BA in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9 영국 낭만주의 문학이 근대에 맞서 던진 화두–내면의 감정과 서정성, (비)인간 타자에 대한 환대, 세계화되어 가는 제국의 힘–에 관심이 많다. 지금은 이 화두가 시대와 […]

조선정

Ph.D. in English Literature, Texas A&M University, 2003 M.A. in English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5 B.A. in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Yonsei University, 1992 전공분야는 19세기 영국소설이다. 연구분야는 영미여성작가, 페미니즘비평이론, 젠더와 섹슈얼리티 이론에 걸쳐있으며, 관심 주제는 자유주의, 여성화, 포스트페미니즘, 퀴어와 정동 등이다. 최근 논문으로 「주체, 차이, 국가: 자유주의 페미니즘의 진화와 지속가능한 성정치의 모색」(『안과밖』 45, […]

임재인

Ph.D. in English Literatur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2016 M.A. in English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8 B.A. in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6 인종, 젠더, 국가 정체성, 그리고 소설이 교차하는 지점을 장기 18세기 영국 문학을 통해 연구한다. 연구 관심사는 고딕 문학, 오리엔탈 서사, 포로 서사, 가정 소설 등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