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D in English,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009
MA in English,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002
MA in English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1
BA in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9
영국 낭만주의 문학이 근대에 맞서 던진 화두–내면의 감정과 서정성, (비)인간 타자에 대한 환대, 세계화되어 가는 제국의 힘–에 관심이 많다. 지금은 이 화두가 시대와 국경을 넘어선 근대 텍스트의 연결망 속에서 변주되는 양상을 주로 연구한다. 특히 영국 낭만주의 문학과 한국 근대문학 간의 역사적, 텍스트적 상관성에 주목하면서 근대 영문학의 서양성을 개념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코스모폴리타니즘, 탈식민주의, 글로벌 문학비평 사이의 어디에서 동서양의 문화적 관계를 재고할 수 있는 비평적 방법을 찾고 있다. 주요 연구업적으로 편저서 English Romanticism in East Asia (Romantic Circles Praxis Series 2016)와 논문 “Keats via Kim Yeong-Nang, or How the Romantics Have Never Been Western” (European Romantic Review 2020), “East, West, and the Afterlife of British Romanticism in East Asia” (Keats-Shelley Journal 2019), “When Theory Meets the World: Kant’s Post-Revolutionary Renegotiation of the Cosmopolitan Ideal” (European Romantic Review 2010) 등이 있다. 2020-2022년에는 북미낭만주의문학회(North American Society for the Study of Romanticism) 운영위원으로 선출되어 역임하기도 하였다.
2025년 1학기
19세기 영국시
19세기 영국시 (대학원)
영문학연구론 (대학원)
2024년 2학기
영작문
19세기 영국문학 (대학원)
2024년 1학기
서양근대문학의 이해
영문학연구론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