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
|
논문제목
|
페이지
|
심예리
|
Roman de la Rose의 반여성적 서술 구조:
Sexual Violence를 중심으로
|
1
|
양병기
|
인터레이스(Interlace) 숲에서 랜슬롯(Lancelot) 구출하기:
「성배탐색의 장」의 서사방식에 관한연구
|
11
|
정한별
|
Locating and solving repairs in EFL tutorial discourse:
comparative study of NS and NNS tutors
|
39
|
임재인
|
Signs of (mis)Interpretation:
Eavesdropping and Curiosity in The Castle of Otranto
|
59
|
임태연
|
20세기 교양소설로 『무지개』와 『연애하는여인들』읽기:
어슐라의 자아의 완성을 중심으로
|
70
|
정소하
|
A Woman Among Women:
다른 여성들에 대한 인식을 통해 드러나는 제인과 테스의 정체성
|
99
|
한희승
|
여성이 이야기하는 방법:
『제인 에어』와 『테스』에서 나타나는 여주인공들의 목소리
|
124
|
김보람
|
Faint or Feint?:
Literary Portrayals of Female Swooning in the Eighteenth Century
|
148
|
박아란
|
윌러스 스티븐스의 욕망과 육체의 미학:
「건반 앞의 피터 퀸스」를 중심으로
|
167
|
박소현
|
오든(W.H.Auden)의 초기시가 보여주는 추리적 측면과 그 의미:
「비밀요원」(\”The Secret Agent\”)을 중시으로
|
183
|
최은혜
|
The Court, the Rule, and the Queen:
The Faerie Queene as a Representation of ElizabethⅠ
|
1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