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명
|
논 문 제 목
|
페이지
|
박희진
|
자존의 문제 – 리처드슨(Richardson)의 클러리서(Clarissa)의 경우 –
|
1
|
이정호
|
노수부의 죽음과 시인의 탄생: 코울리지의 「노수부의 노래」 읽기
|
15
|
강미숙
|
성당 안의 웃음 소리: 「무지개」의 제2세대와 근대적 남녀관계
|
44
|
김영국
|
자질 점검 이론에서의 영어 관계적 구조에 관하여
|
68
|
김정미
|
여성의 이름과 정체성의 문제 – 프랜씨즈 버니의 「씨실리아」론
|
84
|
엄용희
|
워즈워스의 비문적 시: 루씨 시편들의 경우
|
98
|
이순구
|
죠지 엘리어트의 페미니즘: 「플로스 강가의 물방앗간」을 중심으로
|
120
|
장경욱
|
「젊은 굿맨 브라운」에 나타난 두 개의 숲 경험과 신앙상실의 의미
|
148
|